google-site-verification: google3def50730ce1e632.html google-site-verification=ack01lQi6FGsNyF5y88tbXeNEtzGV-hqLC8-cKbWME8 google-site-verification=T7qugA-jRAXzlU0074lKj8-j9khpLCkWu6H754VbqK0 본인확인 강화제도 5월20일부터 병원갈때 신분증 필수로 챙겨가야 합니다
본문 바로가기
건강일기

본인확인 강화제도 5월20일부터 병원갈때 신분증 필수로 챙겨가야 합니다

by 느린어르니 2024. 4. 8.
728x90
반응형

아프지 않았을때는 몰랐습니다

그런데 아프고 나서 병원관련 뉴스가 나오면 한번씩 꼭 챙겨보게 되는거 같습니다

오늘 아침 눈에 들어오는 뉴스가 있더라구요

 

병원방문시 본인 확인 강화제도

이건 또 뭘까?라고 생각해서 읽어보니 처음 알게 되는 정보가 많은거 같습니다

병원을 방문할 때 2024년 5월 20일부터는 주민등록증 및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 가야한다.

본인확인 강화제도가 시행되면서 신분증을 통한 본인 확인이 진행된다

지금까지 병원을 방문할때는 접수처에서 주민등록번호만 불러주거나 기록해놓으면 되었었다

언제부터인가 건강보험증 이런게 필요없이 그냥 이름 주민번호만 불러주면 진료가 가능했다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이 타인 명의로 병원을 이용하거나 향정신성 의약품을 확보하는 등의 건강보험증 대여·도용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 주민등록증 대여·도용 적발 건수는 2023년 기준 4건 이상이었다.

이건 나도 몇년전에 인터넷 뉴스에서 본적이 있는거 같다

내가 가본적도 없는 지역에서 치료를 받고 그랬다는 기사를 봤다

보험료 부정수급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건강보험법을 개정했다.

 

병원에 방문 시 신분증-자신의 사진이 붙어 있는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국가보훈등록증

-  장애인등록증

외국인은 외국인 등록번호가 포함돼 있는 외국인등록증도 제시 가능하다.

 

단 19세 미만이거나 응급환자 등은 기존처럼 주민등록번호로 건강보험 자격을 확인하고 접수할 수 있다.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는 대상이지만 깜빡하고 신분증을 병원에 가져 오지 않았을 땐

스마트폰을 통한 본인 확인이 가능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모바일 건강보험증앱을 설치한 뒤 본인인증 후

모바일 건강보험증 조회건강보험 자격 본인확인 QR’을 접수처에 제시하면 된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or.nhiq&pcampaignid=web_share

 

약국에서는 지금처럼 본인 확인 의무가 없다. 처방전을 제시하고 급여가 되는 약을 처방받을 때도 본인 확인 없이 조제받을 수 있다. 이미 병원에서 신분증 제시를 통해 받은 처방전이기 때문에 약국에서 이중 확인을 진행하지 않는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나처럼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사람은 갈때마다 신분증을 내야 하는건가

정보를 찾아보니 병원을 방문할때마다 신분증은 항상 필요하다고 나와 있다

 

대학병원은 기계에서 주민번호를 누르면 접수번호증이 나오면 그떄 신분증과 같이 보여주는건가

신분증을 챙겨가야 하는 정보는 알게 되었는데 한번 경험을 해봐야알거 같다

그래도 확실한건 병원갈때 신분증 꼭 챙겨가세요

728x90
반응형